안녕하세요.
"쉽고 재밌는 사주, 초코명리(초코서당)"의
에디터 초명입니다.
오늘은 60개의 일주 중,
갑진(甲辰), 정미(丁未), 계축(癸丑)일주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 차례 -
• 들어가며
• 간여지동의 뜻
• 신왕한 사주의 성립 조건
• 갑진, 정미, 계축일주가 간여지동인 이유
• 경술일주 VS 경진일주
• 갑자, 신축, 임신일주의 비교
• 신축일주 깊이 들여다보기
• 나가며
1. 들어가며
갑진일주는 일간인 갑목을 기준으로 일지인 진토가 편재인 일주가 됩니다.
정미일주는 일간 정화를 기준으로 일지 미토가 식신인 일주가 되구요.
계축일주는 축토가 일간 계수에게 편관이 되는 일주입니다.
위의 이미지는 일간이 갑목과 을목일 때, 오행과의 관계를 십성을 중심으로 살펴볼 수 있도록 만든 십성의 상상상극 표입니다.
사주에서 비겁은 일간과 같은 기운이고, 인성은 일간을 생해주는 기운입니다. 하지만, 식상은 일간이 생하는 기운이고, 재성은 일간이 극하는 기운이며, 관성은 일간을 극하는 기운입니다. 즉, 비겁과 인성을 제외하고, 나머지 십성인 식상, 재성, 관성은 모두 일간의 힘을 소모하는 기운이 되죠.
즉, 일지가 편재로 이루어진 갑진이나, 일지가 식신으로 이루어진 정미, 일지가 편관으로 이루어진 계축 일주는 모두 일간이 일지 때문에 자신의 기운을 소모할 수 밖에 없는 일주라고 여겨지실 겁니다.
하지만,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특이하게도 갑진, 정미, 계축 일주는 위에 설명드린 것처럼 일지가 비겁이나 인성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간여지동급인 신왕한 일주로 봐야하기 때문입니다.
2. 간여지동이란 무슨 뜻일까?
일단, 잠시 간여지동(干與支同)이란 무슨 뜻인지 먼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간여지동은 한자 뜻 그대로, 연주, 월주, 일주, 시주처럼 한 주 안에서 천간(天干)과 지지(地支)가 같은 오행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왼쪽 사주는 일주가 병오일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즉, 일주가 간여지동인 사주가 됩니다. 오른쪽 사주는 연주가 무진이고, 월주가 경신이라, 연주와 월주가 간여지동인 사주에 해당합니다.
위 이미지에 나온 것처럼, 甲寅(갑인), 乙卯(을묘), 丙午(병오), 丁巳(정사) 등 특정 일주들의 경우 천간과 지지가 같은 오행의 기운을 갖고 있는 간여지동 일주에 해당합니다.
이렇게 간여지동인 간지는 총 열두 개가 됩니다. 목, 화, 금, 수 오행은 두 개, 토 오행만 네 개의 간여지동 일주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간여지동으로 이루어진 경우, 천간과 지지가 이루고 있는 동일한 오행의 기운이 매우 강하게 작용한다고 봅니다. 마치, 하늘에서의 뜻이 땅에서도 이루어지는 것과 같은 상황이라고나 할까요?
예를 들어, 甲寅(갑인), 乙卯(을묘) 일주의 경우 목(木) 기운이, 丙午(병오), 丁巳(정사) 일주인 경우 화(火)의 기운이 매우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이런 오행적, 십성적 특성이 그 사람의 성향이나 직업적 환경과 연결되기 쉽다고 보는 것이죠.
물론, 간여지동으로 일주가 이루어질 경우, 주변 원국의 구조에 따라 특정 오행으로 기운이 편중되어 균형이 깨질 수 있기도 합니다. 이로 인해 그 오행이나 십성과 관련된 부정적 특성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간여지동은 사주 내에서 천간과 지지가 같은 주에서 결합되어, 특정한 오행적 기운이 강하게 드러나는 상태를 뜻합니다.
원국의 구조에 따라 장점과 단점이 극명하게 나타날 수도 있는 만큼, 간여지동으로 이루어진 사주의 경우 전체의 흐름과 균형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신왕한 사주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일간이 일지와 같은 오행으로 구성되면, 즉 일주가 간여지동이라면 신왕한 사주가 됩니다.
여기서 신왕(身旺)한 사주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요?
일간이 지지에 뿌리를 튼튼히 내리고 있는 만큼, 일간(나, 나의 몸)의 힘이 왕성해진 사주를 뜻합니다.
즉, 원국에서 일간이 주변 요소에 의해, 자신의 기운을 강하게 견지할 수 있는 사주임을 나타내는 것이죠.
여기서 오해하시면 안 되는 게,
신왕한 사주는 신강한 사주가 될 수도 있고, 신약한 사주도 될 수 있다는 겁니다.
신강(身强)한 사주는 일간의 기운이 강한 사주를 말합니다. 원국 내에 일간과 같은 비견이나, 일간을 생해주는 인성이 가득하여 일간의 기운이 강한 사주가 신강한 사주가 됩니다. 신강한 사주는 자기중심적이라 보통 자신감이 강하고 독립적이며, 추진력, 결단력이 뛰어난 편입니다. 어려운 환경에서도 버티는 힘이 강하고, 고집이 센 경우가 많습니다.
신약(身弱)한 사주는 일간의 기운이 약한 사주를 말합니다. 원국 내에 일간의 힘을 소모하는 식상이나 재성, 관성의 기운이 일간을 돕는 비겁이나 인성보다 훨씬 많을 때 일간은 신약해지게 됩니다. 신약한 사주는 자아나 주체성이 주변 환경에 비해 약한 만큼, 신강한 사주에 비해 주변 지인이나 환경(가정, 학교, 조직 등)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습니다. 소극적이고 자신감이 부족할 수도 있죠.
여기서 중요한 건, 사주명리학에서 신강과 신약은 일간(日干)의 기운이 강한지 약한지를 기준으로 나눈 것일 뿐, 신왕하다는 것과는 별개의 개념이란 것입니다.
즉 신왕한 사주는 신강할 수도 있고, 신약할 수도 있습니다.
단지, 신왕한 사주란, 일간이 지지에 뿌리를 강하게 내리고 있어 기운이 왕성하다는 뜻일 뿐입니다. 원국의 구조에 따라 일간을 돕는 기운이 강하면 신강한 사주가 되고, 일간을 억누르거나, 일간의 기운을 소모시키는 요소가 강하다면 신약한 사주가 됩니다.
보통 신강하거나, 신약한 것과는 별개로, 일간이 지지 중 월지나 일지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면 신왕한 사주가 됩니다.
4. 갑진(甲辰), 정미(丁未), 계축(癸丑)일주가 간여지동인 이유
갑진(甲辰)일주는 일간인 갑목(甲)을 기준으로 일지인 진토(辰)가 편재인 일주가 됩니다. 지장간은 을목(乙) 겁재와 계수(癸) 정인, 무토(戊) 편재로 이루어져 있는데, 계수(癸) 정인이 을목(乙)을 생하지만, 을목(乙) 겁재는 무토(戊) 편재를 극하고, 또 무토(戊) 편재와 계수(癸) 정인은 서로 합을 하는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습니다.
정미(丁未)일주는 일간 정화(丁)를 기준으로 일지 미토(未)가 식신인 일주가 되구요. 지장간은 정화(丁) 비견과 을목(乙) 편인, 기토(己) 식신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을목(乙) 편인이 정화(丁) 비견을 생하면서도, 기토(己) 식신을 극하고 있습니다. 정화(丁) 비견은 기토(己) 식신을 생하고 있구요. 역시 양상이 매우 복잡합니다.
계축(癸丑)일주는 축토(丑)가 계수(癸)에게 편관에 해당하는 일주입니다. 기(己) 편관이 신(辛) 편인을 생하고, 신(辛) 편인은 또 다시 계(癸) 비견을 생합니다. 중기인 신(辛)은 습토의 생조를 매우 반기는데, 지장간에서 토생금, 금생수로 흐르니 매우 아름다운 구조입니다.
갑진(甲辰), 정미(丁未), 계축(癸丑) 일주 중 가장 일간의 힘이 강한 일주를 고르라고 한다면, 개인적으로 계축(癸丑)일주를 꼽고 싶습니다. 다른 일주와 달리 일지 지장간의 흐름이 토생금, 금생수로 매우 순조롭게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학자에 따라 지장간의 흐름이 순조로운 계축(癸丑)일주와 달리, 갑진(甲辰), 정미(丁未)일주는 지장간의 양상이 충과 합, 극으로 매우 어지럽기 때문에 도저히 간여지동으로 볼 수는 없다고 여기는 분도 있다고 봅니다.
잠시, 천간과 지지가 속한 계절을 살펴보겠습니다.
천간 중 갑목(甲)과 을목(乙)은 봄의 간지고, 병화(丙)와 정화(丁)는 여름의 간지이며, 경금(庚)과 신금(辛)은 가을, 임수(壬)와 계수(癸)는 겨울의 간지에 해당합니다.
지지에서 인(寅), 묘(卯), 진(辰)은 봄의 간지에, 사(巳), 오(午), 미(未)는 여름의 간지에, 신(申), 유(酉), 술(戌)은 가을, 해(亥), 자(子), 축(丑)는 겨울의 간지에 해당합니다.
즉 갑진(甲辰)일주는 천간에서 봄의 간지인 갑(甲)이 진(辰)과 결합한 일주고, 정미(丁未)일주는 여름의 간지인 정(丁)이 미(未)와 결합한 일주이며, 계축(癸丑)일주는 겨울의 간지인 계(癸)가 같은 겨울의 간지인 축(丑)과 결합한 일주가 됩니다.
천간과 지지 모두 같은 계절의 간지들이 결합했다 보니,
갑진(甲辰), 정미(丁未), 계축(癸丑)일주 모두 간여지동급으로 신왕한 일주에 해당하는 것이죠.
게다가 위 세 일주 모두 남과 경쟁해서 이길 수 있도록 일간의 힘을 강화시켜 주는 신살들을 갖고 있습니다.
갑진일주는 백호를, 정미일주는 양인을, 계축일주는 백호와 양인을 갖고 있죠. 이 부분도 이 세 일주를 더욱 강하게 만드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습니다.
5. 경술(庚戌)일주 VS 경진(庚辰)일주 비교하기
천간 중 경금(庚)은 가을의 간지에 속하고, 술토(戌) 역시 가을의 간지에 속합니다. 경술(庚戌)일주의 경우 술토(戌)가 편인에 해당합니다. 일지가 일간을 생조해주는 구조라, 당연히 갑진(甲辰), 정미(丁未), 계축(癸丑)과 달리 경술(庚戌)은 간여지동급으로 신왕한 일주가 됩니다.
잠깐, 여기서 경술(庚戌)일주와 경진(庚辰)일주를 비교해볼까요?
일간을 기준으로 보면, 누가 더 일간의 힘이 강한 일주에 해당될까요?
당연히 경술(庚戌)일주가 됩니다.
여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천간 지지 모두 가을의 간지에 속하고
일간 경금(庚) 입장에서 겁재에 해당하는 신금(辛)이 술토(戌) 지장간의 초기에 자리 잡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듯, 천간, 지지 모두 같은 계절에 속한 간지끼리 결합해야 더욱 일주가 신왕해지게 됩니다.
참고로, 갑진일주는 일간 갑목이 일지 진토를 극토를 극한다고 볼 수 없습니다. 일지가 갑목이 가장 사랑하는 봄의 토인 진토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죠.
이 부분에 대해서는 추후 다른 글을 통해 상세히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6. 갑자(甲子), 신축(辛丑), 임신(壬申)일주 비교하기
갑자(甲子), 신축(辛丑), 임신(壬申) 일주 중 가장 힘이 강한 일주는 무엇일까요?
개인적으로는 신축(辛丑)일주와 임신(壬申)일주라고 생각합니다. 그 이유는 갑자(甲子)일주와 달리, 신축(辛丑)과 임신(壬申)일주는 모두 일지 지장간에 비겁을 뿌리로 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저는 부모가 누구인지에 따라 개인의 신분이 결정되었던 과거 사회와 달리, 현대 사회에서는 개인의 경쟁력이 더욱 중요하게 작용한다고 봅니다. 즉, 현대에 와서는 인성보다, 지지에 일간의 뿌리가 되는 비견이나 겁재가 있는 것이 더욱 일간의 힘을 강하게 키운다고 여기는 것이죠.
원래 지장간에서는 초기보다 중기가, 중기보다 정기가 더욱 힘이 강합니다. 하지만, 이 역시 지장간에서의 충(沖)과 합(合), 극(剋)의 양상을 잘 살펴야 합니다.
신축(辛丑)일주는 일간 신금(辛)이 축(丑) 중 신금(辛)에 비견으로 뿌리를 두고 있으며, 임신(壬申)일주 역시 일간 임수(壬)가 신(申) 중 임수(壬)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축토(丑)의 중기인 신금(辛)은 정기인 기토(己)에게, 신금(申)의 중기인 임수(壬)는 정기인 경금(庚)에게 생조받고 있으니 그 힘이 더욱 강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갑자보다 저는 신축과 임신일주가 더욱 힘이 강하다고 봅니다.
7. 신축일주 깊이 들여다보기
잠깐, 일지가 인성(印星)인 일주 중에서 신축(辛丑)일주만 추가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축토(丑) 지장간은 기토(己) 편인, 신금(辛) 비겁, 계수(癸) 식신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기운이 토생금, 금생수로 순조롭게 흐릅니다. 특히 신금(辛)은 습토의 생조를 반기는 데다, 본인을 맑게 씻어주는 계수(癸)를 만나면 더욱 투명하게 빛납니다. 그렇기 때문에 신축(辛丑)일주도 그 힘이 만만치 않습니다.
신축(辛丑)일주는 요행을 바라지 않고, 만사를 자기 힘으로 해결하려는 성실한 기품을 가지고 있습니다. 금(金) 일간답게 현실적인 판단력도 강하며, 지장간의 계수(癸) 식신 덕분에 손재주가 좋은 사람도 많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강한 신축(辛丑)일주가 왜 간여지동급 간지로 분류되지 않는 것일까요?
십이운성만 보면 양(養)이라 힘이 강한 듯하지만, 백호(白虎), 양인(羊刃), 괴강(魁罡) 같은 자기 전문성으로 발현되는 강한 신살이 하나도 없기 때문입니다. 만약 일간이 묘지(墓地)에 놓인 무술(戊戌)이나 임진(壬辰)처럼 십이운성의 힘은 약하더라도, 괴강(魁罡), 백호(白虎), 양인(羊刃) 같은 파괴력 있는 신살을 하나라도 지니고 있었다면 신축(辛丑) 역시 간여지동급 간지로 분류될 수 있었을 것입니다.
정리하면, 결국 뿌리를 강하게 지닌 것과 일간의 힘을 강력히 드러낼 수 있는 신살의 조합이 맞물려야 간여지동급 일주가 될 수 있습니다.
8. 나가며
오늘은 갑진, 정미, 계축일주가 신왕한 간여지동급 일주인 이유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위 포스팅에 대한 내용은 제 유튜브 채널 초코명리에,
영상으로도 올려놨으니 공부하시는데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저와 함께 사주명리를 공부하고 계신 모든 도반들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혹시라도 글에 오타가 있거나, 잘못된 부분이 있을 경우 댓글로 남겨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지금까지,
"쉽고 재미있는 사주, 초코명리"의
에디터 초명이었습니다.
저와 만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책 '명리, 나를 지키는 무기 : 시리즈 도서출판 멀리깊이
본인의 사주를 제대로 해석해보고 싶으신 분, 언젠가 명리를 전문적(상담가, 연구자, 강사)으로 활용해보고 싶은 분들에게 책을 소개하려 합니다.
유튜브를 통해 사주명리를 공부하신 분들은 천간, 지지, 십성에 대해서는 잘 알고 계시지만, 막상 원국과 대세운의 합과 충과 형의 작용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내 사주의 용신을 어떻게 추출하고, 대세운에 따라 언제 내가 나아가고 물러가야 하는지를 모르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위에 언급한 내용들을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나아가 내 사주도 제대로 통변해보고 싶다 하시는 분들에게 추천드립니다.
명리, 나를 지키는 무기(기본+중급+심화편 세트) - 예스24
이 상품은 YES24에서 구성한 상품입니다.(낱개 반품 불가).[도서] 명리, 나를 지키는 무기 (기본편)명리공동체 ‘철공소’ 강연 확정! 강헌, 현묘 강력 추천!고리타분한 팔자타령을 뛰어넘는 젊은
www.yes24.com
2. 초코명리와 함께 선을 쌓고, 함께 좋은 일을 하는 방법에 대해 안내드립니다.
초코명리는 후원금을 모아 결식아동을 후원하고 있습니다.
제가 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작은 정성이나마 모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후원내역과 기부명세서는 유튜브 영상을 통해 공개할 예정입니다.
'초코명리' 후원 계좌: 카카오뱅크 3333-28-5522125 (나*완)
*기부에 동참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안내 글입니다.
초코명리(초코서당) 후원 방법 안내(Feat: 꿈베이커리)
안녕하세요. "쉽고 재밌는 사주, 초코명리(초코서당)"의에디터 초명입니다. 오늘은 초코명리(초코서당)의 후원과 관련된 글을 포스팅하려 합니다. 1. 들어가며(함께 기부금을 모으게 된 이
wany26.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