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코서당' 태그의 글 목록

사주명리, 운명 속에 숨겨진 빛나는 가능성 사주상담 안내
초코명리(초코서당)

명리커뮤니케이터 초명과 초코서당 소속의 명리전문가들이 함께 운영하는 사주명리백과사전입니다.

초코서당 9

지장간에 대한 모든 것 (1) - 지장간의 형성 규칙(계절의 흐름을 중심으로)

안녕하세요."쉽고 재미있는 사주, 초코명리(초코서당)"의 에디터 이명관입니다.  지장간은 지지 속에 숨겨져 있는 천간을 의미하는 말로,한자로는 ‘땅 지(地)’, ‘감출 장(藏)’, ‘천간 간(干)’ 자를 씁니다.즉, 땅 속에 천간이 감춰져 있다는 뜻에서 유래한 개념입니다. 안 그래도 천간이라는 순수한 기운이 땅으로 내려와 이루어진 지지는,지장간만 봐도 알 수 있듯 매우 복잡합니다.  지장간은 초기, 중기, 정기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지 중 인목의 경우 지장간을 보면 1) 초기인 무토(戊)2) 중기인 병화(丙)3) 정기인 갑목(甲)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이는 즉, 무토와 병화, 갑목이 모여 인목의 기운을 만들어내고 있다는 이루고 있다는 뜻입니다.  묘목의 경우에는 초기인 갑목(甲)과 정기..

천간, 지지 2025.03.25

초명의 사주명리 2기 초급반 수강 후기

안녕하세요."쉽고 재미있는 사주, 초코명리(초코서당)"의 에디터 초명입니다. 현재 초명의 사주명리  ✔️ 1기 일반과정 중급반(25년 4월 8일 화)과 ✔️ 2기 전문과정 통변반(25년 4월 3일 목) 개강을 앞두고 일부 수업 후기를 올리려 합니다. 1년 전 1기 초급, 중급, 고급반 수업을 진행했는데, 초보강사로서 작년을 돌아보니, 정말이지 후회가 크게 남더라구요.  저를 믿고 수업을 신청해주신 수강생분들이 정말 많았는데, 아쉽게도 재수강률이 그리 높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때는 수업자료도 정말 부실했고, 강의 때 올라오는 여러 질문들에 충분히 답변도 드리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 이제 막 사주명리를 배우기 시작한 분과, 어느 정도 사주명리를 공부하고 오신 분들도 함께 제 수업을 듣다 보니,..

수강안내 2025.03.17

야자시/조자시에 대한 모든 것 (2) - 심화편

안녕하세요."쉽고 재미있는 사주, 초코명리(초코서당)"의 에디터 초명입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상담을 할 때 야자시/ 조자시를 전혀 사용하고 있지 있습니다. 그냥 자시가 되면 다음날로 일주가 바뀐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입니다.  나아가 자시생인 경우, 내담자분들의 시주를 정확히 세우기 위해 1) 지역별 시차 2) 태어난 연도의 써머타임 도입 여부 3) 균시차를 모두 꼼꼼하게 살피고 있습니다. 또한, 자시의 경계에 걸쳐 태어난 분들은 해시(亥時)로도 시주를 세워 사주를 살핍니다.  개인적으로 야자시/조자시를 인정하지 않지만, 자시에 태어난 분들의 사주를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 해시와의 경계도 고려하는 것입니다.  위에 언급한 내용들은 사주 해석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줄이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습니..

사주이야기 2025.03.17

야자시/ 조자시에 대한 모든 것 (1) - 기본편

안녕하세요. "쉽고 재미있는 사주, 초코명리(초코서당)"의  에디터 김향림입니다.   사주에서는 태어난 시간이 무척 중요합니다.  태어난 연(年), 월(月), 일(日), 시(時)를 기준으로 사주팔자가 구성되는 만큼, 태어난 시간(시주, 時柱)을 모르면 사주 해석이 무척 제한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죠.  위 이미지는 사주명리학에서 12지지에 배속된 시간과 동물을 정리한 표입니다.  자시(子時)는 매일 밤 23시 30분부터 ~ 새벽 1시 30분까지를 말하는데요. 학자에 따라 자시를 야자시/ 조자시로 세분화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오늘은 이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게요.  - 글의 순서 - 1. 전통적인 관점에 따른 자시의 개념2. 야자시/ 조자시란 무엇인가3. 자시를 야자시/ 조자시로 나누게 된 이유4. 자시에 ..

사주이야기 2025.03.03

초명 명리 1기 통변반 개강 안내

안녕하세요. "쉽고 재밌는 사주, 초코명리"의에디터 초명입니다.   현재 초코서당에서 1기 통반 개강을 앞두고, 수강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통변반 역시 총 12강으로 크게, 1) 고급 단계의 신살론과 십이운성론2) 학업과 입시, 전공과 직업, 사업과 재물, 연애와 결혼, 자녀와 육아 등 명리학의 각론에 해당되는 부분들 에 대해 다룰 예정입니다.   25년 4월 3일(목) 저녁 7시 30분 부터 약 2시간 동안 첫 강의가 시작됩니다.  1강은 유튜브에서 무료로 공개되는 터라,궁금하신 분은 당일 유튜브 '초코명리'에서 공개강의를 들어보시면 좋겠네요.  1기 통변반 개강 안내 가. 개강일-25년 4월 3일(목) 저녁 7시 30분 부터 나. 수업일-매주 목요일 19:30 ∼ 22:00 12주 수업 다. 수업..

수강안내 2025.02.26

초명 명리 2기 중급반 개강 안내

안녕하세요. "쉽고 재밌는 사주, 초코명리"의에디터 초명입니다.   현재 초코서당에서 2기 중급반 개강을 앞두고, 수강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중급반은 총 12강으로 크게, 1) 원국의 구조를 살피고 용신을 구하는 방법2) 원국과 대세운의 충과 합, 형의 작용을 해석하는 방법 에 대해 다룰 예정입니다.  25년 4월 8일(화) 저녁 7시 30분 부터 약 2시간 동안 첫 강의가 시작됩니다.  1강은 유튜브에서 무료로 공개되는 터라,궁금하신 분은 당일 유튜브 '초코명리'에서 공개강의를 들어보시면 좋겠네요.  2기 중급반 개강 안내 가. 개강일-25년 4월 8일(화) 저녁 7시 30분 부터 나. 수업일-매주 화요일 19:30 ∼ 22:00 12주 수업 다. 수업 내용-오행, 십성의 과다와 부족 -신강과 신약..

수강안내 2025.02.26

투간, 투출, 통근이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쉽고 재밌는 사주, 초코명리(초코서당)"의에디터 초명입니다.  오늘은 "투간(透干), 투출(透出), 통근(通根)"에 대한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각각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이번 포스팅의 원고 작성 시, 사주명리학당 에서 상담가로 활동 중인 '김향림' 선생님께 도움을 받았음을 밝힙니다.   - 글의 내용 -  • 들어가며 • 천간과 지지의 관점에서 분류• 통근과 투출, 투간의 차이• 나가며 1. 들어가며(투간, 투출, 통근을 이해하기 앞서) 사주 원국에서 천간과 지지가 어떻게 호응하고 있는지를 살펴야, 해당 오행과 간지의 특성을 면밀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오행은 기운을 선명히 드러내지만, 어떤 오행은 그렇지 못하는 경우가 있죠.  사주가 이렇게 구성된 경우..

사주용어사전 2025.01.31

천간 합(合)의 기본 개념과 원리 (1) - 천간의 합과 합화는 완전히 다르다

안녕하세요.  "쉽고 재밌는 사주, 초코명리"의에디터 초명입니다.  오늘은 천간 합(合)의 기본 개념과 원리에 대해 다루는 포스팅의 첫 번째 시리즈로,원국 내 천간의 합과 합화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차례 - 1. 개요(합과 합화는 다르다)2. 원국에서 합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 이유3. 원국 내 합화의 해석법4. 천간의 거리도 함께 살펴야 하는 이유5. 일간은 합화가 될 수 없다  천간에서의 합(合)은 위 도표에 나와있듯이, 갑기합(甲己合), 을경합(乙庚合), 병신합(丙辛合), 정임합(丁壬合), 무계합(戊癸合) 이렇게 다섯 가지입니다.  많은 분들이 원국 내에서 갑목과 기토가 만나면 무조건 갑목이 토가 바뀐다거나, 을목과 경금이 만나면 을목이 금으로 바뀐다고 알고 계시는데요.  절대 그렇..

합, 충, 형 2025.01.08

초코명리(초코서당) 후원 방법 안내(Feat: 꿈베이커리)

안녕하세요. "쉽고 재밌는 사주, 초코명리(초코서당)"의에디터 초명입니다.   오늘은 초코명리(초코서당)의 후원과 관련된 글을 포스팅하려 합니다.  1. 들어가며(함께 기부금을 모으게 된 이유) 약 1년 전, 처음으로 초코명리(초코서당)를 후원하고 싶다는 문의를 받았습니다.  그때 당시에는 유튜브에서 멤버십을 따로 운영하지 않고 있던 터라,  많은 분들이 그러하듯 저 역시 후원계좌를 공개해두고,후원금이 쌓이면 그걸로 맛있는 것도 좀 사먹고, 가족이나 지인들에게 생색도 내고 싶은 마음이 있었어요.  그러던 차에,'안녕, 사주명리' 블로그를 운영하시는 현묘님께서 차라리 후원계좌를 오픈하고, 초코명리(초코서당)의 이름으로 뜻있는 단체에 기부하는 건 어떻겠느냐 제안을 주셨죠.  이미 현묘님께서는 본인의 블로그를..

일상이야기 2024.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