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장간에 대한 모든 것 (2) - 지장간의 형성 규칙(생지, 왕지, 고지를 중심으로)

사주명리, 운명 속에 숨겨진 빛나는 가능성 사주상담 안내
초코명리(초코서당)

명리커뮤니케이터 초명과 초코서당 소속의 명리전문가들이 함께 운영하는 사주명리백과사전입니다.

천간, 지지

지장간에 대한 모든 것 (2) - 지장간의 형성 규칙(생지, 왕지, 고지를 중심으로)

gwan0927-1 2025. 4. 14. 21:16

안녕하세요.

"쉽고 재미있는 사주, 초코명리(초코서당)"의 
에디터 이명관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아래처럼 계절의 흐름을 중심으로, 지장간의 형성 규칙을 살펴봤는데요. 

 

지장간에 대한 모든 것 (1) - 지장간의 형성 규칙(계절의 흐름을 중심으로)

안녕하세요."쉽고 재미있는 사주, 초코명리(초코서당)"의 에디터 이명관입니다.  지장간은 지지 속에 숨겨져 있는 천간을 의미하는 말로,한자로는 ‘땅 지(地)’, ‘감출 장(藏)’, ‘

wany26.tistory.com

 

오늘은 지지를 생지왕지고지로 구분한 후,

이를 중심으로 지장간들의 특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생지는 역마의 속성을, 왕지는 도화의 속성을,고지는 화개의 속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먼저 이에 대해 상세히 알아볼게요.

 

- 글의 순서 -

 

1. 생지 지장간의 형성 규칙

2. 왕지 지장간의 형성 규칙

3. 고지 지장간의 형성 규칙

4. 나아가며

 

1. 생지 지장간의 형성 규칙

 

생지(生地)는 역마의 인자다

 

 

지지 중 생지는 인신사해에 해당합니다. 

 

생지는 기본적으로 역마(驛馬)의 속성을 내포하고 있는데요.

 

역마는 한자로 ‘정거장 역(驛)’자에 ‘말 마(馬)’자를 씁니다. 말 그대로 역마는 '정거장에 있는 말'이라는 뜻이죠.

 

조선시대에는 관청의 명령을 전달하거나 긴급한 문서를 빨리 보내기 위해 일정한 거리마다 말을 두었습니다. 관리들은 이런 역마들을 타고 역참에서 역참으로 이동하며 빠르게 소식을 전달했습니다. 

 

여기에서 확장되어, 한 곳에 정착하지 못하고 강제적으로 여기저기 돌아다니게 되는 것 역시 역마라고 칭하게 되었습니다. 사람의 운명을 한 군데에 정착하지 못하고 여러 역을 떠돌아 다녔던 말에 비유한 것이죠.

 

옛날에는 살던 고향을 떠나는 것을 무척 꺼려했습니다. 산에서 호랑이에게 물려 죽거나, 산적을 만나 가진 물건을 뺏기거나, 천연두 같은 전염병에 걸려 죽을 수도 있었으니까요. 이 때문인지 역마를 '살'로 해석하기도 했죠. 

 

하지만 현대에는 사화의 양상이 많이 달라졌기 때문에, 역마를 오히려 긍정적으로 재해석해야 한다고 봅니다. 예를 들면

과거와는 달리 다양한 지역을 돌아다니며 일하거나, 해외에서 경험을 쌓는 것이 개인의 경쟁력으로 작용하잖아요? 

챗 GPT에게 역마의 활동성을 잘 나타내는 그림을 그려보라고 시켰더니... 이런 옛스러운 그림을 보여주네요 ㅎㅎ 너무 빨리 달리다가 눈에 흙먼지가 들어갔나 봅니다.

 

저는 역마를 "활동적이고, 도전적인 성향"으로 설명합니다. 집에만 있는 걸 싫어하여 정기적으로 운동하는 걸 좋아한다거나, 일을 하더라도 분주하게 몸을 움직일 일이 많다는 정도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는 뜻이죠. 

 

나아가 안정적이기보다 다양한 경험을 바라며, 기존의 질서에서 벗어나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는 성향이 강하다고 봐야 합니다. 

 

역마가 있으면 활동성이 강해지는 것이지, 이를 두고 무턱대고 고향을 떠나거나, 해외로 이동하게 된다는 것으로만 해석하면 곤란합니다. 

 

이런 활동성적인 역마의 특성은 음과 양을 나누어 보았을 때, 비교적 양에 가깝습니다. 

 

생지의 지장간이 형성되는 규칙을 알아보자

 

임철초는 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에서 양의 속성을 '오양종기부종세(五陽從氣不從勢) '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다섯 개의 양간은 기운을 따르지, 형세를 따르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다섯 개의 양간은 갑목, 병화, 무토, 경금, 임수를 말하는데요. 이런 양간들은 음간과 달리 직선적이고, 자신의 뜻을 그대로 밀고 나가려 합니다.

 

남의 눈치를 보거나, 주변 환경에 얽매이기 보다 스스로가 하고자 마음 먹은 대로 행동하니, 실속은 조금 떨어질 수 밖에 없겠죠.

 

인신사해(寅申巳亥) 역시 모두 이런 양간으로 이루어진 만큼, 발산과 확장의 힘이 무척 강합니다. 역동적이고 진취적이며, 넓은 활동범위를 자랑하죠. 

 

직선적으로 움직이다 보니 무엇이든 시작함에 주저함이 없이 자신의 기운을 강렬히 분출합니다. 

 

인신사해 생지(生地)는 계절의 첫 문을 여는 간지입니다.

 

인목은 봄의 문을, 사화는 여름의 문을, 신금은 가을의 문을, 해수는 겨울의 문을 여는 간지입니다. 계절의 시작을 담당하는 간지인 만큼, 무척 강한 활동력을 지닐 수 밖에 없습니다. 

 

결국, 생지는 모두 양간으로 이루어질 수 밖에 없다는 뜻입니다. 

 

여기에서 바로 생지의 지장간이 이루어지는 첫 번째 규칙이 나옵니다. 

 

그 규칙이 뭐냐?

네. 바로 생지의 지장간들은 모두 양간이라는 것입니다. 

위 이미지를 보시면 생지인 인신사해의 지장간 모두 초기, 중기, 정기가 양간으로 이루어져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공식이 있습니다. 

생지의 초기는, 모두 무토(戊)라는 것이죠. 


무토(戊)는 토 오행 답게, 

중재, 중용, 조화, 균형, 안정, 포용적 성향이 강한 간지입니다. 

 

예를 들면, 협상가, 중개인, 외교관 같은 역할을 한다고나 할까요?

 

이를 확장하면 계절과 계절 사이를 중재하는 힘도 매우 강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인신사해(寅申巳亥)의 절기는 입춘(立春), 입하(立夏), 입추(立秋), 입동(立冬)으로,

모두 '설입 입(立)'의 글자가 앞에 붙습니다. 

 

생지가 각 계절의 첫 문을 여는 기운이라는 뜻이죠. 하지만 생지는, 동시에 이전 계절의 끝과도 직접적으로 맞닿아 있는 기운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사화(巳)를 보면,

봄(春)의 끝을 상징하는 진토(辰) 정기가, 여름(夏)의 시작을 상징하는 사화(巳) 초기와 서로 맞닿아 있습니다.

 

진토와 사화의 절기와 날짜를 비교해보겠습니다. 

 

 

이처럼 진토와 사화는 절기상으로도, 날짜상으로도 끝과 시작이 맞닿아 있어 서로 이어지는 흐름을 보여줍니다.

 

사화 뿐만 아니라, 인목, 신금, 해수 같은 다른 생지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위 이미지에서 볼 수 있듯,

이런 생지들의 지장간 초기가 무토라는 것은, 무토가 서로 다른 계절의 끝과 시작을 훌륭하게 중재하며 이어주는 중요한 역활을 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세 번째 공식은 

생지의 중기가 모두 다음 계절의 정기라는 것입니다. 

 

중기는 한자로 '가운데 중()' '기운 기()'를 씁니다. 초기와 정기 사이에 있는 중간 기운을 의미하죠.

 

중기가 중요한 이유는,

중기가 지지간의 전환과 변화를 나타내는 중요한 키이기 때문입니다.

 

생지인 인신사해(寅申巳亥)의 중기를 보면, 모두 다음 계절의 정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생지가 가진 강한 추동성을 바탕으로 미리 다음에 올 계절의 기운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죠. 

 

다르게 표현하면, 다음에 올 계절을 미리 내다보고 다음 계절로의 전환과 변화를 위해 빠르게 달려나가는 것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인사신해는 역마의 속성을 가지고 있는 만큼, 글자 그대로 매우 역동적이며 넓은 활동 범위를 자랑합니다.

 

바로, 자신이 속한 계절의 범위를 뛰어넘어 다음 계절을 향해 달려나갈 준비를 하고 있는 것처럼 말이죠. 

 

양기가 가진 강한 발산의 에너지가, 생지로 하여금 미리 다음 계절에까지 닿아있게 만든 것입니다. 

 

 

네 번째 공식은 

생지의 작용력은 초기 23% 중기 23%, 정기 54%로 동일하다는 것입니다. 

 

한 달 30일 기준으로 생지는 초기 7일, 중기 7일, 정기 16일의 비율로 지장간의 기운이 분포되어 있습니다. 이를 퍼센트로 환산하면 대략 초기 23%, 중기 23%, 정기 54%가 됩니다. 

 

 

2. 왕지 지장간의 형성 규칙

 

생지는 도화의 인자다

 

 

 

자오묘유 왕지는 도화의 속성을 가지고 있는 글자입니다. 

 

'복숭아꽃'을 의미하는 도화(挑花)는 한 마디로 정의하면 매력에 해당됩니다. 단순히 외모적인 아름다움이 아니라, 여러 사람들에게 주목받는 힘의 의미하죠. 

 

도화가 강한 사람은 자연스럽게 이성에게 호감을 얻거나, 대중의 주목을 받는 일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연예인 중 신봉선님과 아이린님의 경우 서로 다른 이미지를 가지고 있지만, 두 분다 사주 원국에 갖춘 도화의 기운을 대중의 관심과 인기를 얻는 힘으로 쓰고 있습니다.

 

도화를 외모나 섹슈얼리에 관련된 것으로만 한정짓기 보다, 현대 사회에서는 자신의 역량을 타인에게 돋보이게 만드는 힘으로 바라봐야 합니다. 

 

특히 월지에 도화가 있는 경우, 같은 일을 하더라도 조직 내에서 상사에게 쉽게 인정받는 경향이 있습니다. 도화가 강한 사람은 말 한 마디나 행동 하나로 주변의 관심을 끌고, 유행을 주도하기도 합니다. 

 

사주에서 도화는 왕지에서 비롯됩니다. 왕지는 한자로 ‘성할 왕(旺)’과 ‘땅 지(地)’자를 쓰는데요. 계절의 기운이 가장 충만한 절정의 시기를 말합니다. 


오화를 제외하고 나머지 왕지들을 살펴보면, 

지장간의 초기는 해당 계절의 양간으로, 정기는 해당 계절의 음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즉, 각 계절에 속하는 천간들이 모두 내려와 계절의 무르익음을 강하게 드러내고 있는 것입니다. 

 

왕지가 봄여름가을겨울을 대표하는 시기임을 나타내듯,

생지도 고지도 아닌 해당 계절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도화는 마치 왕지가 계절의 절정을 드러내는 것처럼, 
자신을 타인에게 드러내며 주변에 강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기운에 해당합니다. 

 

왜 왕지의 정기는 양간이 아니고 음간일까?

 

아이러니하게자오묘유(子午卯酉) 왕지의 정기는 모두 음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왕지가 가장 왕성한 계절이나 절정인 기운을 나타낸다면,

정기 역시 음간이 아닌 양간으로 이루어져야 맞지 않을까요?

 

여기서 잠깐, 음기(陰氣)의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발산하려는 양기(陽氣)와 정반대로, 

수렴하려는 음기(陰氣)는 방어적, 소극적, 실리적, 실용적, 분석적, 현실적 힘으로 드러납니다. 

 

임철초는 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에서 음의 속성을 '오음종세무의정의(五陰從勢無情義)'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다섯 개의 음간은 세를 따르지, 주변의 환경에 흔들리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다섯 개의 음간은 을목, 정화, 기토, 신금, 계수를 말하는데요. 이런 음간들은 양간과 달리 불리해질 때는 한 발 물러나 실속을 챙깁니다. 잠깐 자존심을 내려놓더라도, 현실적인 처세에 능하다는 것이 장점이지요. 

 

다섯 개의 양간은 기운을 따르지, 형세를 따르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다섯 개의 양간은 갑목, 병화, 무토, 경금, 임수를 말하는데요. 이런 양간들은 음간과 달리 직선적이고, 자신의 뜻을 그대로 밀고 나가려 합니다.

 

음간은 화려해보이는 양간과 달리 소극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사실 따지고 보면 매우 현실적이고 안정적으로 움직입니다.

 

같은 맥락에서 자오묘유(子午卯酉)의 정기가 가진 음의 기운 역시 매우 안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왕지는 계절을 대표하는 기운이지만, 왕성한 계절의 기운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품어야 하기 때문에 정기가 음간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보는 것이죠. 

 

그렇다면, 왕지(旺地)의 초기는 왜 양간(陽干)으로 이루어졌을까요?

 

반대로, 왕지의 초기는 모두 양간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왕지의 초기는 생지 다음에 놓이는 기운입니다. 즉, 자신이 속한 계절의 기운을 더욱 펼쳐보이며 활기를 불어넣는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정리하자면, 왕지에는 두 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첫째, 왕지는 발산하는 양간과 수렴하는 음간을 모두 품고 있다.

 

초기 양간은 계절을 펼쳐보이며 활기를 불어넣습니다. 그리고 다음에 이어지는 정기 음간은 계절을 안정되게 유지하죠.

 

이렇듯 음과 양 각자가 자신의 속성에 맞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계절의 기운이 왕성하게 드러나는 것입니다. 

 

두 번째 특징은, 

오화(午)를 제외하고, 왕지의 초기와 정기는 모두 같은 오행으로 구성되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중기가 없죠. 

 

자오묘유(子午卯酉)의 지장간을 보시면, 중기가 있는 건 오직 오()뿐입니다.

 

왕지는 계절을 대표하는 중심이자해당 계절을 가장 강하게 드러내는 역할을 합니다. 앞서 설명했듯이양간과 음간이 함께 공존하며 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중기가 딱히 필요가 없죠. 

 

다른 말로 하자면, 본래의 그 순수한 기운 자체만으로도 이미 충분하다는 뜻입니다. 모든 왕지들은 각 계절에 해당되는 천간의 양간과 음간이 다 모여서 구성된 기운이잖아요?

 

이렇듯 그 계절의 특성을 가진 천간의 간지들이 다른 기운과 섞이지 않고 하나로 모여야만 해당 계절의 기운을 강하게 드러낼 수 있습니다. 

 

자오묘유는 이러한 작용으로 인해, 대략 아래와 같은 특징을 보입니다. 

 

① 일처리가 시원하다

② 다른 사람의 눈치를 잘 보지 않는다

③ 선명하고 뒤끝이 없다

④ 깔끔하다

⑤ 단순하고 직선적인 힘이다

⑥ 관계의 시작과 끝의 매듭이 확실하다

⑦ 자신의 선택에 후회가 없다

⑧ 번민을 하지 않는다

⑨ 자신의 에너지를 강하게 드러낸다

 

오화(午)에만 중기가 없는 이유는 무엇일까?

 

왕지 중 유일하게 오화에만 중기가 있다고 말씀드렸는데요. 

 

이게 바로 세 번째 규칙이 됩니다. 

 

오화만 중기에 기토(己)가 있는 이유에 대해서는, 어떤 고서에서도 자세히 설명하고 있지 않습니다. 

 

추측컨데, 저는 여기에도 자연의 오묘한 이치가 담겨있다고 보는데요. 

 

과거 아래 유튜브 영상에서 초명님께서 이 부분에 대해 설명하신 적이 있어서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보시면 공부에 큰 도움이 될 듯 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9_2Vs0gUqcw&t=37s

 

 

네 번째 규칙은, 

오화(午)를 제외하고 왕지의 작용력은 초기(33%), 정기(67%)로 동일하다는 겁니다. 

 

 

위 이미지를 보시면 묘목, 유금, 자수의 경우 초기와 정기의 작용력이 각각 동일한데요.


예외적으로 왕지 중 오화(午)만 중기가 있기 때문에,

오화만 초기(33%), 중기(30%), 정기(37%)의 작용력을 갖게 됩니다.

 

3. 고지 지장간의 형성 규칙

 

고지는 화개의 인자다

 

 

마지막으로, 고지가 화개의 인자인 이유와,

진술축미의 지장간 형성 규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꽃가마를 의미하는 화개는 한자로 '빛날 화(華)' '덮을 개(蓋)'를 씁니다. 

 

고서에서는 화개의 기운이 강한 사람을 두고, 죽어서 꽃가마를 탄다고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수련이 깊은 고승이 입적할 때 꽃가마에 실려 가는 것처럼, 화개의 기운이 강한 사람은 삶에서 큰 명예를 얻지만, 그에 이르기까지 긴 시간 동안 고독하게 수양하고 자신을 갈고 닦는 과정이 반드시 뒤따를 수 밖에 없다는 의미입니다. 


마치 유명한 연애인이 남들의 시선 때문에 온전한 자유를 누리지 못하듯,

겉은 화려하지만 그 내면에는 쓸쓸한 고독의 기운이 가득할 수도 있겠죠. 


즉, 화개는 고독 속에서 피어나는 명예, 속세와의 거리를 두고 완성되는 학문성, 종교성, 예술성, 영성의 기운 등을 상징합니다.

고지는 각 계절을 마무리하는 기운이다

 

 

다음 계절로 넘어가기 전,

자신이 속한 계절의 기운을 정리하고 마무리하는 자리가 바로 진술축미 고지입니다. 

 

⬤ 진(辰) → 봄의 끝
⬤ 미(未) → 여름의 끝
⬤ 술(戌) → 가을의 끝
⬤ 축(丑) → 겨울의 끝

 

한 계절이 저물어갈 때의 고독함, 쓸쓸함의 기운이 곧 화개가 상징하는 기운이기도 합니다. 

 

같은 계절에 속해있음에도 불구하고 생지, 왕지와 다르게 고지들은 모두 토 오행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고지는 한 발 물러나 미리 자신이 속한 계절의 기운을 정리하고, 다음 계절이 올 수 있도록 준비하는 역할을 하죠. 

 

명리학자 김동완은 이런 고지들을 고속도로와 고속도로가 연결되는 인터체인지에 비유한 바 있습니다. 

 

인터체인지처럼 고지 역시 이전 계절의 기운과 다음 계절의 기운 사이에서,

정체와 흐름, 분절와 통합, 이동과 재구성의 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이죠. 

 

즉, 고지는 이전 계절의 기운을 거두고 있다가, 다음 계절을 향해 그 기운을 전달하며, 

자연스럽게 계절의 변화를 이끌어냅니다. 

 

지지에서는 토 오행이 가진 중재자적 역할을 고지가 하는 것이죠.

 

이게 바로 첫번째 규칙이 됩니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천간에서 중재자적 역할을 하는 무토와 기토가 진술축미의 정기를 이루게 됩니다. 

 

진토와 술토의 정기는 무토고,

미토와 축토의 정기는 기토가 됩니다. 

 

덧붙여, 고지(庫支)는 한자로 창고의 기운을 품은 간지라는 뜻입니다. 

 

농사를 갈무리하는 농부가 수확물을 정리해서 창고에 넣어두는 것처럼,

고지 역시 이전 계절의 기운을 정리해서 보관하는 속성이 있다는 뜻입니다. 

 

 

 

두 번째 규칙은,

고지의 초기와 중기 모두 음간이라는 것입니다.

 

계절을 음과 양으로 나누었을 때, 

봄과 여름은 양으로, 가을과 겨울은 음으로 구분할 수 있죠.

 

양에서 음으로 흐른다는 뜻입니다. 

 

각 계절마다 인묘진, 사오미, 신유술, 해자축으로 간지를 구분했을 때,

계절의 시작인 생지는 모두 양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계절의 절정을 이루는 왕지에는 양간과 음간이 모두 공존하고 있죠.

 

마지막 고지는, 모두 음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마치 계절이 봄, 여름의 양기를 지나 가을, 겨울의 음기로 향하는 것과 같은 흐름입니다. 

 

자연은 음(陰)과 양(陽)이 교차하며 자연스럽게 순환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시각에서 보자면, 고지가 모두 음간으로 구성되어야만 그 수렴적인 성질을 바탕으로 계절의 기운을 안정적으로 갈무리할 수 있다는 뜻이 됩니다.

 

고지의 정기에 자리잡은 토 오행들이, 

그 기운들을 다시 안정적으로 저장하고 보관하는 역할을 합니다. 

 

 

세 번째 규칙은,

고지의 중기가 모두 이전 계절의 초기로 이루어져있다는 것입니다. 

 

생지의 중기는 다음 계절의 정기에 해당하는 양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미래를 내다보고 미리 그 기운을 준비하고 있다는 뜻이죠.

 

반대로 고지의 중기는 이전 계절의 초기인 음간들로 이루어져,

과거를 돌이켜보는 양상입니다. 

 

고지는 과거를 돌아보는 힘이 있다고도 하는데요. 

이 역시 진술축미(辰戌丑未)가 가진 화개의 속성과 맞닿아있습니다. 

 

한 계절의 마지막 단계인 진술축미를 인간의 생애에 대입해보면, 나이가 든 노년의 시기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과거의 찬란했던 시절을 되돌아보며, 다소 고독한 시간을 보내는 노인의 모습과 같다고나 할까요? 

 

영성에 대한 탐구, 철학, 종교, 인문학, 예술과도 인연이 많다고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고서에서는 화개를 살이라 하여 부정적으만 여겼지만,

현대적인 관점에서는 이를 명예의 기운으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실제 화개의 기운이 강한 경우,

작가라 하더라도 10권짜리 대하소설을 능히 써낼 수 있는 역량이 있다거나,  

음악가라면 하루에 12시간 이상을 악기 연주에만 몰입할 수 있는 힘이 있다고도 봅니다.

 

진술축미를 활동력이 강하진 않지만,

특유의 현명함을 바탕으로 한 분야를 개척하는 대학자의 기운으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네 번째 규칙은,

고지의 작용력이 초기(30%), 중기(10%), 정기(60%)로 동일하다는 것입니다. 

 

 

나아가며

 

지금까지 생지와 왕지, 고지의 지장간이 형성되는 규칙에 대해 살펴봤는데요. 

 

다음 시간에는 월(月)을 나누는 법칙인 월률분야와,

월지를 뺀 나머지 연지, 일지, 시지에 해당하는 지장간을 살피는 인원용사에 대해 서술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지금까지,
"쉽고 재미있는 사주, 초코명리"
에디터 이명관이었습니다.

 

 

☑️초명의 사주명리 초급반 (총 24강)

 https://chocosd.liveklass.com/classes/238514

 

초명의 사주명리 초급반(총 24강)

초코서당의 라이브클래스 사이트입니다.

chocosd.liveklass.com

 

 

☑️초코서당 2기 기본과정 중급반 안내문(25.04.08 개강)

 https://wany26.tistory.com/75

 

☑️초코서당 수강후기 모음

→ https://wany26.tistory.com/80

 

☑️ 책 '명리, 나를 지키는 무기 : 시리즈 도서출판 멀리깊이

본인의 사주를 제대로 해석해보고 싶으신 분, 언젠가 명리를 전문적(상담가, 연구자, 강사)으로 활용해보고 싶은 분들에게 책을 소개하려 합니다.
 
유튜브를 통해 사주명리를 공부하신 분들은 천간, 지지, 십성에 대해서는 잘 알고 계시지만, 막상 원국과 대세운의 합과 충과 형의 작용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내 사주의 용신을 어떻게 추출하고, 대세운에 따라 언제 내가 나아가고 물러가야 하는지를 모르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위에 언급한 내용들을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나아가 내 사주도 제대로 통변해보고 싶다 하시는 분들에게 추천드립니다. 

 

명리, 나를 지키는 무기(기본+중급+심화편 세트) - 예스24

이 상품은 YES24에서 구성한 상품입니다.(낱개 반품 불가).[도서] 명리, 나를 지키는 무기 (기본편)명리공동체 ‘철공소’ 강연 확정! 강헌, 현묘 강력 추천!고리타분한 팔자타령을 뛰어넘는 젊은

www.yes24.com

 

 

☑️초코명리와 함께 선을 쌓고, 함께 좋은 일을 하는 방법에 대해 안내드립니다.
 
초코명리는 후원금을 모아 결식아동을 후원하고 있습니다.
제가 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작은 정성이나마 모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후원내역과 기부명세서는 유튜브 영상을 통해 공개할 예정입니다.
 
'초코명리' 후원 계좌: 카카오뱅크 3333-28-5522125 (나*완)
 
*기부에 동참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안내 입니다.

 

초코명리(초코서당) 후원 방법 안내(Feat: 꿈베이커리)

안녕하세요. "쉽고 재밌는 사주, 초코명리(초코서당)"의에디터 초명입니다.   오늘은 초코명리(초코서당)의 후원과 관련된 글을 포스팅하려 합니다.  1. 들어가며(함께 기부금을 모으게 된 이

wany26.tistory.com